우연히 조미료 영상을 보고 자료 검색 - MSG, IMP(I), GMP(G)
🔍 MSG, I, G 차이
정식명 | 글루타민산나트륨 Monosodium Glutamate |
I (이노신산나트륨, IMP) Disodium Inosinate |
G (구아닐산나트륨, GMP) Disodium Guanylate |
기원 | 아미노산 (주로 발효된 당류) | 핵산 (육류 추출 or 발효) | 핵산 (버섯류 추출 or 발효) |
맛 특징 | 기본적인 감칠맛 | 고기류 감칠맛 증진 | 버섯류 감칠맛 증진 |
시너지 효과 | 없음 (단독 사용) | MSG와 함께 시너지 ↑ | MSG와 함께 시너지 ↑ |
시너지 강도 | - | MSG + IMP: 감칠맛 ↑ | MSG + GMP: 감칠맛 ↑ |
단독 효과 | 있음 (기본 감칠맛) | 단독 맛은 약함 | 단독 맛은 거의 없음 |
사용 예 | 거의 모든 가공식품 | 조미김, 라면, 고기향 시즈닝 | 소스, 스낵, 버섯향 제품 |
안전성 | 국제적으로 인정됨 | 동일 | 동일 |
1. 🔸 MSG (글루탐산나트륨, Monosodium Glutamate)
- 정체: 아미노산(글루탐산) 유래 화학 조미료
- 맛 특징: 기본적인 감칠맛(Umami) 제공
- 단독 사용 가능: 감칠맛 자체가 강해 단독으로도 쓰임
- 활용 예시: 라면, 김치찌개 분말, 냉동식품, 치킨스톡 등 대부분의 인스턴트식품
- 안전성: WHO·식약처 등에서 ‘안전’으로 평가, 다만 민감자에겐 두통 등 있을 수 있음
2. 🔸 핵산계 조미료 (Nucleotide-based)
2-1. IMP (이노신산나트륨, Disodium Inosinate)
- 기원: 주로 고기류나 생선에서 유래
- 맛 특징: 고기 풍미 강조
- 혼합 시너지: MSG와 함께 쓸 경우 감칠맛 2~4배 이상 증가
2-2. GMP (구아닐산나트륨, Disodium Guanylate)
- 기원: 주로 버섯류에서 유래
- 맛 특징: 버섯 향미 강화
- 혼합 시너지: MSG와 함께 쓰면 감칠맛 4~8배 증가
3. 🔸 I+G (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/ Disodium Ribonucleotide)
- 정체: IMP + GMP의 혼합형 (보통 1:1 비율)
- 역할: 단독 맛은 약하지만, MSG와 함께 사용할 때 시너지 효과 극대화
- 성분표 표시:
- 5'-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
- 핵산계 조미료
- 향미증진제(I+G) 등으로 표기
4. 📦 I+G가 포함된 식품 예시
- 라면 스프, 즉석국, 조미김, 소스류, 감자칩, 치킨 시즈닝, 햄, 냉동식품
- 일부는 "MSG 무첨가"를 내세우면서 I+G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
🔹 IMP / GMP 단독 vs MSG 혼합 시 차이
MSG 단독 | 보통 | 혼자서도 감칠맛을 충분히 낼 수 있음 |
IMP or GMP 단독 | 약하거나 거의 없음 | 감칠맛 거의 안 느껴짐. 보조제 역할 |
MSG + IMP or GMP | 매우 강함 | 시너지 효과로 감칠맛 2~8배 증가 |
MSG + I+G (IMP+GMP) | 최강 | 산업용 조미료 중 가장 강력한 감칠맛 조합 중 하나 |
📌 정리
- IMP, GMP 단독: 맛 거의 없음 → 보통 단독으로 쓰지 않음
- MSG 단독: 기본적인 감칠맛 있음
- MSG + I+G (혼합형): MSG만 쓸 때보다 훨씬 강한 감칠맛 → 그래서 일부 제품은 MSG보다 더 강한 맛을 내는 느낌을 줄 수 있음
'내 세상 (with 노이) > 이런저런 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주의 vs 사회민주주의, 헷갈리는 두 용어 쉽게 정리 (with 노이) (3) | 2025.06.30 |
---|---|
민생지원금에 대하여.. (with 노이) (2) | 2025.06.20 |
비례대표를 공개 추첨으로 - 국민 추첨의 날 기획안 (with 노이) (3) | 2025.06.05 |
비례대표에 대하여 (with 노이) (0) | 2025.06.05 |